2025학년도 수능에서는 기존의 수능 성적 체제와 더불어 여러 가지 변화가 반영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수험생들은 성적 산출 방식,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등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 수능의 성적 체제는 학생들의 상대적인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해 설계된 만큼, 원점수와 표준점수의 차이를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수능 성적이 어떻게 산출되는지, 각 점수 체계의 의미와 계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간략하게 정리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원하시면 아래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Q&A 자료집을 참고하세요.
원점수를 제공하지 않고 표준점수를 제공하는 이유
수능에서는 원점수를 제공하지 않고 표준점수를 제공하는 이유는 학생들이 응시하는 영역 및 과목 간의 난이도 차이를 반영하기 위해서입니다. 수능에서 한국사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과목은 학생들이 선택해서 응시할 수 있는데, 이는 각 과목마다 응시하는 학생의 수와 학습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난이도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따라서 원점수만으로는 영역/과목 간의 난이도 차이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원점수의 한계
원점수는 시험의 총점과 대비해 몇 점을 받았는가 하는 절대적인 점수만을 나타냅니다. 이는 학생 간의 상대적인 비교나, 동일 학생 내에서의 영역/과목 간 비교를 어렵게 만듭니다. 즉, 원점수만으로는 시험의 난이도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이 각기 다른 시험에서 동일한 성과를 보였다고 평가할 수 없습니다.
표준점수의 도입 배경
반면, 표준점수는 학생의 원점수를 바탕으로, 그 학생이 속한 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고려해 산출됩니다. 이렇게 산출된 표준점수는 학생의 원점수가 집단 내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주므로, 다른 과목이나 다른 학생들과의 비교가 용이해집니다.
표준점수란 무엇이며 어떻게 산출하나요?
표준점수는 학생의 원점수를 기반으로, 그 점수가 해당 시험 집단 내에서 얼마나 상대적으로 높은지, 낮은지를 나타내는 점수입니다. 이를 산출하기 위해선 먼저 Z점수를 계산해야 하며, Z점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합니다.
Z점수 = (학생의 원점수 - 수험생이 속한 집단의 평균) / 수험생이 속한 집단의 표준편차
Z점수를 계산한 뒤, 이 값을 표준편차와 평균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표준점수로 변환합니다.
표준점수 = Z점수 × 해당 영역/과목의 표준편차 + 평균
이때 국어와 수학의 경우 평균은 100, 표준편차는 20으로 설정되며, 탐구 영역은 평균 50, 표준편차 10으로 설정됩니다. 예를 들어, 탐구 영역의 물리학Ⅱ에서 원점수 38점을 받은 학생의 표준점수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물리학Ⅱ 표준점수 = (38 - 19.1) / 9.2 × 10 + 50 = 70.54를 소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리한 71점
이처럼 표준점수는 원점수보다 학생의 성적을 더 정밀하게 반영할 수 있습니다.
표준점수의 범위와 의미
2025학년도 수능에서 표준점수의 범위는 국어, 수학 영역은 0에서 200점, 탐구 영역은 0에서 100점으로 설정됩니다. 이 범위는 각 영역/과목의 평균에서 ±5배의 표준편차를 더하거나 빼서 결정되며, 이 범위를 벗어난 점수는 절삭하여 0점 또는 최고점으로 처리됩니다.
표준점수의 범위와 만점의 차이
표준점수에는 만점이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표준점수의 최고점은 원점수 분포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표준점수 범위는 단지 이론적인 최고점을 의미할 뿐, 실제 시험에서는 최고점이 이 범위를 넘어설 수도, 혹은 그보다 낮을 수도 있습니다.
백분위와 그 산출 방식
백분위는 수험생이 받은 표준점수를 기준으로, 해당 수험생이 전체 수험생 중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백분위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백분위 = (학생의 표준점수보다 낮은 표준점수를 받은 수험생 수 + 동점자 수 ÷ 2) ÷ 전체 수험생 수 × 100
예를 들어, 100명의 수험생 중에서 표준점수 92점을 받은 학생의 백분위를 계산해보면, 그 학생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73명과 동점자 12명을 반영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백분위 = (73 + 12 ÷ 2) ÷ 100 × 100 = 79
백분위는 학생의 성적을 상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수단이며, 각 대학의 입시 전형에서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등급의 의미와 산출 방법
수능에서 등급은 표준점수를 기준으로 9등급으로 나누어집니다. 1등급은 상위 4%의 수험생에게, 2등급은 그다음 7%까지, 3등급은 그다음 12%까지 부여됩니다. 이와 같이 전체 수험생을 상위 비율에 따라 순차적으로 등급을 나눕니다.
등급은 표준점수로 결정되며, 동점자가 있을 경우 해당되는 등급 중 상위 등급을 부여합니다. 따라서 백분위가 동일하더라도 표준점수에 따라 등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어 영역에서 두 학생이 각각 표준점수 133점과 134점을 받았다고 가정할 때, 두 학생의 백분위는 동일하더라도 1점 차이로 등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와 점수 체제
2022학년도 수능부터 도입된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는 2025학년도에도 적용됩니다. 국어와 수학 영역에서 모든 수험생은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을 함께 응시하며,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 문제를 줄이기 위해 선택과목 조정 점수 방식을 적용합니다.
선택과목 점수 조정 방식
선택과목 점수는 공통과목 점수를 활용하여 조정되며, 이를 통해 선택과목 간의 난이도 차이를 최소화합니다. 최종적으로 공통과목 점수와 조정된 선택과목 점수를 합산한 후, 이를 표준점수로 변환하여 수능 성적표에 표기됩니다.
학생들은 각자 자신에게 유리한 선택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선택과목의 조정 점수 방식이 적용되므로 특정 과목에만 치중하는 전략은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각 과목에서 고루 좋은 성적을 받는 것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영어와 한국사 영역의 절대평가 체제
영어와 한국사 영역은 절대평가로 진행되며, 등급만 제공됩니다. 영어 영역의 경우, 만점이 100점이며, 1등급은 90점 이상, 2등급은 80점 이상으로 10점씩 점수 범위가 나뉘어집니다. 한국사 영역도 마찬가지로, 만점 50점을 기준으로 5점 간격으로 등급이 나뉩니다.
절대평가 체제에서는 모든 학생이 일정 점수 이상을 받으면 동일한 등급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인 경쟁보다는 본인의 목표 점수에 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탐구 영역의 점수 체제와 조정 방식
탐구 영역은 과목별로 평균 50, 표준편차 10을 기준으로 표준점수가 산출됩니다. 표준점수의 범위는 0에서 100점이며, 최종 성적표에는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이 함께 표시됩니다.
탐구 영역에서도 선택과목이 많기 때문에, 각 과목의 난이도 차이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험생들은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반영하여 과목을 선택하고, 안정적인 고득점을 목표로 학습해야 합니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의 절대평가 체제
제2외국어/한문 영역 역시 절대평가로 진행되며, 만점 50점을 기준으로 5점 간격으로 등급이 나뉩니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서는 자신의 언어 능력과 흥미를 고려하여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영역에서도 1등급을 목표로 효율적으로 학습할 필요가 있습니다.
수능 성적표에 표기되는 내용
2025학년도 수능 성적표에는 영역별/과목별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이 표기됩니다. 한국사, 영어,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절대평가에 따른 등급만 제공됩니다. 또한, 국어, 수학, 탐구,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서는 수험생이 응시한 선택과목명이 함께 표기됩니다.
성적표는 수험생이 원서를 접수한 학교에서 배부되며, 졸업생이나 검정고시 출신자 등은 해당 교육지원청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성적표를 분실한 경우에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재발급이 가능합니다.